1. PLC의 개념과 역사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는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로직 컨트롤러의 약자입니다.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동화된 공정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으로 공장, 발전소, 교통 시스템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사용됩니다. PLC 시스템은 센서, 모터, 밸브 등의 입력 장치와 연결되어 작동하며, 이러한 장치들이 PLC에게 신호를 보내면 이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적절한 제어 신호를 출력합니다. 이를 통해 공정을 자동으로 제어하고, 불필요한 인적자원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PLC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을 사용하여 작동합니다. 사용자가 요구사항에 맞게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동작을 제어하며, 프로그램을 수정하거나 업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산업 현장에서 다양한 공정을 자동화하고 개선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안정성이 높고 유지보수가 쉬우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서 산업 현장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LC의 개발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자동화 시스템은 더욱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게 되었습니다. PLC의 역사는 19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그 당시, 자동화 시스템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던 릴레이와 타이머는 유지 관리가 어렵고 변경이 복잡한 단점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68년 미국의 회사인 General Motors의 하이드라매틱 부서는 자동화 시스템의 제어와 모니터링을 위한 새로운 기술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릴레이 기반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는 PLC 개념이 제안되었습니다. 1969년, 리처드 모리츠와 그의 팀은 PLC의 초기 버전인 Modicon 084을 개발했습니다. 이 디바이스는 릴레이와 타이머를 대체하면서도 더 높은 유연성과 프로그래밍 가능성을 제공했습니다. 오늘날에도 사용되는 Modbus 역시 당시에 개발한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이후 산업 분야에서 빠르게 인기를 얻었고, 다양한 회사들이 자신만의 PLC 시스템을 개발하기 시작했습니다. 1980년대에는 더 작고 저렴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의 PLC가 등장했고, 이를 통해 중소형 자동화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이 시기에는 통신 기능이 강화된 PLC가 개발되었으며, 이를 통해 원격 제어와 모니터링이 가능해졌습니다. 1990년대부터는 개방형 통신 프로토콜과 소프트웨어 표준이 도입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다양한 제조사의 PLC와 주변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어 협력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계속해서 발전해 왔으며, 더욱 진보된 프로세싱 능력, 높은 메모리 용량, 고성능 통신 기능 등을 갖춘 현재의 시스템이 개발되었습니다. 현재에 이르러서는 PLC가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PLC의 기능도 더욱 확장되어 더욱 효율적인 산업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 국내 사용 현황
한국에서 인기 있는 PLC 3가지를 설명하겠습니다. 첫번째로 LS산전의 XGB 시리즈입니다. XGB 시리즈는 고성능, 다양한 입출력 모듈, 신속한 통신 기능을 제공하며, 한국 내 산업용 자동화 시스템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시리즈는 다양한 모델이 있어 여러 가지 환경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Mitsubishi Electric의 FX 시리즈입니다. 미쓰비시 일렉트릭은 일본의 다국적 기업이지만, 한국에서도 인기가 높은 PLC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FX 시리즈는 높은 성능과 다양한 입출력 모듈, 통신 옵션을 제공하며, 한국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FX 시리즈는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 적합하게 설계되어 있어 한국 기업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세번째로 삼성전기의 PLC 시리즈 입니다. 삼성전기의 PLC는 고성능 프로세서, 다양한 입출력 모듈, 강력한 통신 기능 등을 제공하며,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많습니다.
3. 엔지니어
PLC 엔지니어는 산업용 자동화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에서 PLC를 설계, 프로그래밍, 통합, 설치, 시운전 및 유지 보수와 같은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가입니다. PLC 엔지니어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동하며, 공장, 화학 시설, 석유 정제소, 식료품 가공 시설 등과 같은 분야에서 자동화 및 제어 시스템을 개선하고 최적화하는데 기여합니다. PLC 엔지니어가 되기 위해서는 전기, 전자, 제어, 컴퓨터 공학 등과 같은 관련 분야의 학위를 취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또한, 특정 PLC 제조사의 제품 및 프로그래밍 환경에 대한 깊은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므로,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교육과정 및 인증 프로그램을 이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프로젝트의 요구 사항을 이해하고, 시스템을 설계 및 프로그래밍하며, 필요한 입출력 모듈 및 통신 기능을 선택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PLC 엔지니어는 시스템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산업 표준 및 규정을 숙지하고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산업분야에서 PLC를 유지, 보수, 업그레이드 하기 위하여 생산기술팀 인력이 활용됩니다. 해당 공정에 대하여 포괄적인 인식과 안목이 있어야하며, 단순히 요구사양만 반영할 것이아니라 요구 사양 충족으로 인한 파생되는 다른 이슈들도 검토하여야합니다.
2023.05.02 - [분류 전체보기] - <산업> 자동화의 역사와 현재, 그리고 미래
2023.04.26 - [분류 전체보기] - 산업 <생산기술> 정의 업무 가능성
2023.04.25 - [분류 전체보기] - 산업 < 스마트 팩토리 > 정의, 등장 배경, 특징, 구축, 전망
댓글